함영대(성균관대) |
18~19세기 서학西學에 대한 조선학자들의 대응논리 -서학중원설西學中原論의 전개와 그 함의- |
陈卫平(화둥사범대) |
서학(西學)을 받아들이는 바탕 및 중서(中西) 비교의 사상적 지반 명청(明淸)시기 서학(西學)의 전래 |
김영우(인제대) |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이단론(異端論) |
刘学智(산시 사범대) |
西方学者论中华文明对欧洲启蒙运动的影响及启示: 以霍布森、顾立雅所论为中心 |
张学智(북경대) |
王阳明与费希特 |
Nguyen Huu Son(베트남 사회과학한림원 문학연구원) |
서양에 대면한 베트남 유학자 – 리 반 픅(Ly Van Phuc, 1785~1849)부터 팜 푸 트(Pham Phu Thu, 1821~1882)까지 |
何俊(복단대) |
西學과 明나라 말기의 유학 지식 재조명 – 서광계(徐光启)의 과학 사상 |
何成轩(중국 사회과학원 철학원) |
越南传统文化的主体性与包容性及 其对外来文化的抉择 |
백민정(가톨릭대) |
정약용의 형법서를 통해 본 조선후기 性 관념과 특징: 중국 明淸代 성범죄 인식과의 비교 |
Hoang Minh Quan(철학원) |
20세기 전반 서양사상 전파와 베트남의 수용– 儒學 지식인부터 新學 지식인까지 – |
전성건(안동대) |
조선후기 천학에 대한 유학자의 사상적 대응 |
Quach Thi Thu Hien(문학연구원) |
1900-1945년도 儒家의 변천과 위치 재발견 – 北-中圻 漢學 擧人-秀才출신 기자들의 논술과 태도 고찰을 중심으로 – |
최대우(전남대) |
서학의 유입과 이제마의 사상의학 |
Tran Nguyen Viet(철학원) |
『HỘI ĐỒNG TỨ GIÁO (四敎會同)』를 통해서 본 유교의 철학적 문제들 |
류은아(건국대) |
조선의 대명률 수용과 다산의 인식-흠흠신서를 중심으로- |
한도현(한국학중앙연구원) |
서구화 속에서 유교의 창조적 파괴,변용,지속: 한국과 베트남의 마음의 습성(habit of the heart)을 중심으로 |
舒大刚(사천대) |
참파(Champa) 문화의 형성에 있어서 다원적 문화의 영향과 융합 |
Luong My Van(철학원) |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 문화 영향 아래의 베트남 효도 변화 – “皇越律例”와 “北圻民法”, “皇越戶律”의 여러 규정 비교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