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자 | 제목 |
---|---|
한상진(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민중사회학'의 창시자, 다산 정약용의 학문체계와 사상 '목민'의 인학(仁學)과 체제 개혁의 공공성에 대한 예비적 논의" |
정학섭(전북대학교 명예교수) | "다산 정약용, 수기치인학의 사회학적 함의 -수양공부와 공공적 실천의 사회학-" |
가타오카 류(일본 도후쿠대학교 문화연구과 교수) | "日・韓の「実学」における「仁学」と「公共性」: 丁茶山(1762-1836)と横井小楠(1809-69)を例として 한일 「실학」에서의 「인학」과 「공공성」: 정다산(1762-1836)과 요코이 쇼난(1809-69)를 예로 들어" |
박영도(중민재단 수석연구원) | 정약용에서 인정(仁政)의 공공성: 그 문법과 의의 |
김상준(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 | 유교와 개혁의지 |
조성환(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교수) | 다산 정약용, 인간의 조건을 다시 묻다 |
논평자 : 장승구(세명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이영호(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유승무(중앙승가대학교 불교사회학부 교수),
노관범(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 안효성(대구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