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그의 삶과 시대
-
정약용(丁若鏞, 1762~1836)
다산(茶山) 정약용은 민중의 편에 섰던 선구적인 인문 사상가이며 저술가였다. 그는 약자와 침묵할
수밖에 없는 민초들의 역경에 괴로워하면서 조선 사회를 새롭게 바꾸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는 꿈꾸는
자만은 아니었다. 구체적이고 실천가능한 해결책들을 모색하기 위해, 중국의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해
번역된 서양의 책뿐만이 아니라 일본의 서적까지 손에 닿는 모든 것을 읽었다. 이러한 오랜 탐색을
통해 독창적이고 종합적 사유, 공공복지와 정의에 기반한 새로운 사회에 대한 비전이 탄생할 수 있었다.
다산은 르네상스적인 인간이었다. 그의 관심은 놀라울 정도로 다양한 영역과 주제들에 이르렀다.
그는 기술자였고 건축가였으며, 군사전략가였다. 그는 천연두 예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글을 썼던
의사였다. 그는 지방 행정가들이 법적인 판단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례들을 연구하여
편찬하였던 법학가였다. 그는 2000수가 넘는 감동적인 시를 남긴 시인이면서 음악학자이기도 하였다.
또한 그는 조선의 차문화에 활력을 불어넣은 조선차 연구자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다산의 가장 위대한 업적은 정신적인 것이었다. 카톨릭에 대한 정부의 박해 가운데 카톨릭
신자인 조카사위 황사영(黃嗣永, 1775~1801)의 편지가 발견되어, 그는 한반도 남서쪽 강진으로
유배되었으며, 그곳에서 18년의 삶을 보냈다. 그는 병약하고 아픈 몸을 추슬러가며 새로운 조선에
대한 비전을 글로 옮겼고, 우리들에게 수많은 저술을 물려주었다.
정약용은 대체로 ‘다산’으로 애칭되지만, 그는 고향에서 죽기 전까지 “먼 미래를 기다린다”는 뜻을 지닌
‘사암(俟菴)’이란 호를 좋아하였다. 이 외에도 ‘열수(列水)’ ‘철마산인(鐵馬山人)’ ‘자하도인(紫霞道人)’
등의 호가 있으며, 당호는 여유당(與猶堂), 시호는 문도(文度)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