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 연도 | 활동사항 |
---|---|---|
1 | 1762 | 유학자 집안에서 태어나다. 출생지는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이다. |
15 | 1776 | 풍산 홍씨 홍화보의 딸과 결혼하다. 부친을 따라 서울에 거주하다. |
16 | 1777 | 성호 이익의 유고를 읽고 실학에 뜻을 두다. |
18 | 1779 | 서울에서 형 정약전과 함께 과거시험 공부를 시작하다. 채제공 · 이가환 · 권철신 등과 교유하다. |
22 | 1783 | 성균관에 입학하다. |
23 | 1784 | 『중용강의』를 정조에게 바쳐 정조의 주목을 받다. 이벽에게서 처음 천주교에 대해 전해 듣고, 천주교에 기울기 시작하다. |
24 | 1785 | 이벽, 이승훈, 정약전, 정약용 등이 천주교 모임을 하다 발각되다. |
26 | 1787 | 다산과 이승훈이 주도한 천주교 모임이 발각되다. |
28 | 1789 | 과거에 급제하고 정조가 개혁세력 양성을 위해 만든 초계문신에 발탁되다. 한강에 놓을 배다리를 설계하다. |
29 | 1790 | 한림 선발과정에서 생긴 문제로 해미현(현 서산군)으로 잠시 유배가다. 사간언 정언과 사헌부 지평에 임명되다. |
31 | 1792 | 홍문관 수찬에 임명되다. 정조의 명령으로 수원 화성을 설계하고 기중기 등를 고안하여 수원성 축조에 이용하다. |
33 | 1794 | 부친상을 마치고 성균관에 복귀하다. 경기도 암행어사가 되어 민정을 살피다. 홍문관 부교리에 임명되다. |
34 | 1795 | 동부승지, 병조참의, 우부승지에 임명되다. 중국인 신부 주문모의 밀입국 사건에 연루되어 금정찰방으로 좌천되다. |
35 | 1796 | 수원 화성이 준공되다. |
36 | 1797 | 곡산부사에 임명되어 민생을 구제하고 누적된 폐단을 바로잡다. 백성 구제를 위해 천연두 치료법을 정리하다. |
38 | 1799 | 형조참의가 되었으나 탄핵을 받자 '자명소'를 올리고 사퇴하다. |
39 | 1800 | 정조 승하하다. 마재의 고향집을 ‘여유당’이라 명명하고 저술활동을 시작하다. |
40 | 1801 | 신유옥사가 일어나 셋째형 정약종이 사형에 처해지다. 황사영 백서 사건으로 정약용은 강진으로, 둘째형 정약전은 흑산도로 유배되다. |
41 | 1802 | 유배지 주막에 거처하며 ‘사의재’라고 이름하고 제자교육을 시작하다. |
44 | 1805 | 보은산방에 거주하며 큰 아들 학연을 교육하다. 혜장선사와 교유하며 차와 가까워지다. |
45 | 1806 | 제자 이청의 집에 머물며 교육과 저술활동을 하다. |
47 | 1808 | 다산초당에 정착하여 제자들과 협력하여 저술활동을 하다. |
57 | 1818 | 유배에서 풀려나 고향집(능내리)으로 돌아오다. |
61 | 1822 | 회갑년을 맞아 자신의 생애와 학문 세계를 총괄하여 서술한 「자찬묘지명」을 짓다. |
69 | 1830 | 세자(익종)가 위독하자 다산을 불러 진찰하게 하다. |
75 | 1836 | 회혼일에 병으로 세상을 떠나다. 고향집 뒷동산에 안장되다. |
사후 | 1882 | 다산의 저술이 전부 필사되어 내각(內閣)에 수장되다. |
1910 | 조정에서 문도공(文度公)이라는 시호를 내리다. | |
1934∼38 | 정인보ㆍ안재홍 등이 『여유당전서』를 간행하다. | |
2012 | 다산 탄신 250주년을 맞아 유네스코에서 2012년의 기념인물로 지정하다. 다산 탄신 250주년 기념 『정본 여유당전서』발간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