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본 여유당전서』는 신조본을 저본으로 하여 여기에 총 13개 부호의 표점을 적용하고 1만여 자에 이르는 교감 연구를 거쳐 총37책으로 출간되었다. 정본은 신조본의 분류체계를
따른 34책에, ≪여유당전서 보유≫ 에 대한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약 48만 자에 이르는 내용을 따로 3책으로 엮어 편집·출간하였다. 정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정본의 구성
신조선사본(여유당전서)편차
번호 |
서명 |
번호 |
서명 |
詩集 |
喪禮外編 |
文集 Ⅰ |
四禮家式 |
喪儀節要 |
文集 Ⅱ |
祭禮考定 |
文集 Ⅲ |
嘉禮酌義 |
雜纂集 |
文獻備考刊誤 |
禮疑問答 |
雅言覺非 |
風水集議 |
耳談續纂 |
樂書孤存 |
雅言覺非 |
經世遺表 Ⅰ |
大學公議 |
經世遺表 Ⅱ |
大學講義 |
經世遺表 Ⅲ |
小學枝言 |
牧民心書 Ⅰ |
心經密驗 |
牧民心書 Ⅱ |
中庸自箴 |
牧民心書 Ⅲ |
中庸講義補 |
欽欽新書 Ⅰ |
孟子要義 |
欽欽新書 Ⅱ |
論語古今注 Ⅰ |
疆域考 |
論語古今注 Ⅱ |
文集 Ⅰ |
詩經講義 |
大東水經 |
詩經講義補遺 |
麻科會通 |
尙書古訓序例 |
附醫零 |
雅言覺非 |
與猶堂全書補遺 Ⅰ |
小學珠串 |
與猶堂全書補遺 Ⅱ |
梅氏書平 |
與猶堂全書補遺 Ⅲ |
春秋考徵 |
|
周易四箋 Ⅰ |
|
周易四箋 Ⅱ |
|
易學緖言 |
|
喪禮四箋Ⅰ |
|
喪禮四箋Ⅱ |
|
喪禮四箋Ⅲ |
|
또한 필사본 출장 조사 과정에서 함께 발굴된 다산의 간찰 121점을 묶어 『다산 간찰집』 1책이 박철상의 책임연구로 출간되었다. 이렇게 정본의 연구와 감수,
출간에 이르기까지 참여한 연구자는 송재소(宋載邵, 연구책임자)를 필두로 원로 학자 및 소장 연구자에 이르기까지 80여 명에 이른다.
『정본 여유당전서』 책임연구자 및 감수자
신조선사본(여유당전서)편차
번호 |
서명 |
책임연구자 |
감수자 |
詩集 |
심경호 |
송재소 |
文集 Ⅰ |
심경호 |
김언종 |
文集 Ⅱ |
심경호 |
김언종 |
文集 Ⅲ |
심경호 |
김언종 |
雜纂集 |
文獻備考刊誤 |
심경호 |
김언종 |
雅言覺非 |
심경호 |
김언종 |
耳談續纂 |
심경호 |
김언종 |
小學珠串 |
심경호 |
김언종 |
大學公議 |
이광호 |
송재소 |
大學講義 |
이광호 |
송재소 |
小學枝言 |
이광호 |
송재소 |
心經密驗 |
이광호 |
송재소 |
中庸自箴 |
이광호 |
송재소 |
中庸講義補 |
이광호 |
송재소 |
孟子要義 |
이지형 |
송재소 |
論語古今注 Ⅰ |
이지형 |
김언종 |
論語古今注 Ⅱ |
이지형 |
김언종 |
詩經講義 |
김언종 |
심경호 |
詩經講義補遺 |
김언종 |
심경호 |
尙書古訓序例 |
임재완 |
김문식 |
尙書古訓 Ⅰ |
임재완 |
김문식 |
尙書古訓 Ⅱ |
임재완 |
김문식 |
梅氏書平 |
임재완 |
김문식 |
尙書古訓 Ⅱ |
금장태/박종천 |
이광호 |
周易四箋 Ⅰ |
방인 |
황병기 |
周易四箋 Ⅱ |
방인 |
황병기 |
易學緖言 |
방인/장정욱 |
김영우 |
喪禮四箋Ⅰ |
장동우/박종천 |
박종천/장동우 |
喪禮四箋Ⅱ |
장동우/박종천 |
박종천/장동우 |
喪禮四箋Ⅲ |
장동우/박종천 |
박종천/장동우 |
喪禮外編 |
박종천 |
장동우 |
四禮家式 |
喪儀節要 |
박종천 |
장동우 |
祭禮考定 |
박종천 |
장동우 |
嘉禮酌義 |
박종천 |
장동우 |
禮疑問答 |
박종천 |
장동우 |
風水集議 |
박종천 |
장동우 |
樂書孤存 |
권태욱 |
이상필 |
經世遺表 Ⅰ |
김태영 |
이봉규/이원택 |
經世遺表 Ⅱ |
김태영 |
이봉규/이원택 |
經世遺表 Ⅲ |
김태영 |
이봉규/이원택 |
牧民心書 Ⅰ |
손흥철/이주행 |
이상필/안병직 |
牧民心書 Ⅱ |
손흥철/이주행 |
이상필/안병직 |
牧民心書 Ⅲ |
손흥철/이주행 |
이상필/안병직 |
欽欽新書 Ⅰ |
이종일 |
정긍식 |
欽欽新書 Ⅱ |
이종일 |
정긍식 |
疆域考 |
조성을 |
박인호 |
大東水經 |
양보경 |
조성을 |
麻科會通 |
김대원 |
백정의 |
附醫零 |
김대원 |
백정의 |
與猶堂全書補遺 Ⅰ |
김언종 |
이정섭/요대용 |
與猶堂全書補遺 Ⅱ |
김언종 |
이정섭/요대용 |
與猶堂全書補遺 Ⅲ |
김언종 |
이정섭/요대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