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요의 孟子要義

정약용이 ≪맹자(孟子)≫ 260장 중 153장을 초록하고 이에 대한 실천적, 실용적 입장에서 재해석한 저서.

정약용은 조기(趙岐, 108~201, 자:邠卿), 정현(鄭玄, 127~200, 자:康成), 손석(孫奭, 962~1033, 자:宗古) 등의 고주와 주희(朱熹, 1130~1200, 호:晦庵), 그리고 청 대의 경학자인 고염무(顧炎武, 1613~1682, 호:亭林), 모기령(毛奇齡, 1623~1716, 호:西河), 염약거(閻若璩, 1636~1704, 호:潛邱) 등의 주석을 인용했지만, 그들의 주에 구속되지 않고 자신의 창의적 견해를 밝히는 데 주력하였다. ≪맹자≫의 양이 ≪논어(論語)≫의 3배에 가깝지만, 정약용은 도리어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를 ≪맹자요의≫ 분량의 3배 이상을 집필하였다. 여기서 그가 책의 제목에 ‘요의’라는 말을 붙인 이유를 알 수 있다. ≪맹자≫의 원문 가운데서 자신의 실천ㆍ실용의 정신을 관철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많은 장들에 대한 해석은 생략한 것이다.

≪맹자요의≫는 모두 9권으로 정약용이 유배지인 강진(康津)에서 완성한 저술이다. 1813년(순조 13) 겨울 ≪논어고금주≫를 완성하고, 그 이듬해인 1814년(53세) 여름 ≪맹자요의≫를 완성하였다.

판본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필사본 ≪여유당집(與猶堂集)≫에는 모두 9권 3책(전78책 중 제71~73책)으로 되어 있다. 활자본은 1936년에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간행한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제2집, 경집 제5권에 실려 있으며, 2012년 다산학술문화재단에서 간행한 ≪정본 여유당전서≫ 제7책에 실려 있다.

구성

정약용은 ≪맹자≫ 7편을 기존의 분류에 따라 상ㆍ하로 나누고 전체의 장도 260장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전체의 내용을 주해하는 것이 아니라 153장만 선택하여 해석하였다. <등문공 상(藤文公上)> 제3장은 두 장으로 나누었으며, <이루 하(離婁下)> 제32장과 제33장은 한 장으로 합해야 된다고 하였다.
정약용은 책 앞에서 서설을 통하여 맹자(孟子, 기원전 372 ~ 기원전 289 추정)의 생애 및 저술과 관련된 기존의 학설에 대하여 고증을 하고 있다. ≪맹자요의≫의 편집체제는 주석의 분량 때문에 서설부분과 <양혜왕(梁惠王)> 상ㆍ하를 제1권, <공손추 상(公孫丑上)>을 제2권, <공손추 하(公孫丑下)>에서 <등문공 상> 제2장까지를 제3권, <등문공 상> 제3장에서 <등문공 하(藤文公下)>까지를 제4권, <이루> 상ㆍ하를 제5권, <만장 상(萬章上)>ㆍ<만장 하(萬章下)> 를 제6권, <고자 상(告子上)> 제17장까지를 제7권, <고자 상> 제18장에서 <진심 상(盡心上)> 제15장까지를 제8권, <진심 상> 제16장에서 <진심 하(盡心下)>까지를 제9권으로 하였다.

정약용은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에서 ≪맹자≫에 대하여 다음 9가지 주제를 다루었다고 밝히고 있다. (괄호 안의 장절은 주희의 ≪맹자집주(孟子集注)≫의 분장에 근거하였다.)

➊ ‘만승지국(萬乘之國)’의 해석 (<양혜왕 상> 1)
➋ ‘사람을 죽이기를 좋아하지 않는다.’의 의미 (<양혜왕 상> 6)
➌ 정전법(井田法)에 대한 해석 (<등문공 상> 3)
➍ ‘호연지기(浩然之氣)’와 ‘의(義)’ㆍ‘도(道)’의 관계에 대한 해석 (<공손추 상> 2)
➎ ‘성기호설(性嗜好說)’에 대한 해석 (<등문공 상> 1, <고자 상> 3, <진심 상> 21)
➏ ‘본연지성(本然之性)’에 대한 비판 (<등문공 하> 9, <고자 상> 3)
➐ “만물이 나에게 모두 갖추어졌다.[萬物皆備於我]”에 대한 해석 (<진심 상> 3)
➑ “맹자의 성선(性善)은 리(理)만 논하고 기(氣)는 논하지 않았다.”라는 것에 대한 비판(<고자 상> 3, 7)
➒ “선악(善惡)은 기질지성(氣質之性)과 관련이 없다.”라는 설 등이다. (<고자 상> 4, <고자 하> 2)
≪맹자요의≫에서 정약용은 이 밖에도 많은 독창적인 주장과 해설을 제시하였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 5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사단(四端)과 사덕(四德)에 대한 해석

정약용은 인(仁)ㆍ의(義)ㆍ예(禮)ㆍ지(智) 사덕(四德)은 인간의 심성에 본래부터 주어진 것이 아니라 실천을 통하여 후천적으로 획득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사단(四端)의 ‘단(端)’은 주희가 해석하듯 인간의 심성에 내재한 인ㆍ의ㆍ예ㆍ지의 본성을 찾기 위한 단서(端緖)가 아니라, 실천을 통하여 인의예지의 덕을 이루는 시작[端始]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루 상> 27)

영명(靈明)한 마음에 대한 해석

정약용은 초월적 상제(上帝)가 하늘의 귀신과 천지와 만물을 창조하고 조화하고 안양(安養)한다고 여겼다. 상제는 인간에게만 영명성을 부여하여 인간은 ‘신형묘합(神形妙合)’의 존재로 태어난다고 하였다. 신(神)은 상제가 인간에게 부여한 영명지체(靈明之體)로서 대체(大體) 또는 심(心)으로 불린다. 정약용은 이를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첫째, 영명지체에는 선을 좋아하고 악을 부끄럽게 여기는 ‘기호(嗜好)’로서의 성이 부여되어 있다. 둘째, 인간에게는 선과 악을 스스로 선택하여 살 수 있는 자주지권(自主之權)이 주어져 자기 삶에 대한 권리와 책임이 주어진다. 셋째, 선을 좋아하는 천성이 주어졌으나 삶의 실제적 상황은 선을 행하기는 어렵고 악을 행하기는 쉽다. (<등문공 상> 1)

인심(人心)과 도심(道心)

정약용은 성기호설을 통하여 성의 실체성은 부정하며 인간이 타고난 기호를 둘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소체에 근거한 인심의 기호와 대체에 근거한 도심의 기호이다. 정약용은 도심의 기호를 강조하며 강한 실천도덕의 이론을 형성하였다. 인간이 동물과 구별되는 것은 도심이 있기 때문이며 도심의 기호를 따르며 오래 보존하면 성인(聖人)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등문공 상> 1)

정전법

정약용은 자신이 살던 시대의 모순과 민생 피폐의 가장 큰 원인이 토지제도와 세법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전제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을 쓰고, 여전제(呂田制)까지 주장한 정약용은 하(夏)ㆍ은(殷)ㆍ주(周)의 전제와 세법에 대하여 고주(古注) 및 신주(新注)와 다른 해석을 하고, 심지어 ≪맹자≫의 원문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맹자≫가 맹자 한 사람에 의한 기록이 아니라는 주장도 제기하였다. (<등문공 상> 2)

‘고(故)’ 자에 대한 해석

≪맹자요의≫의 상당 부분은 인성론 및 도덕과 관련된 것이지만 객관적 자연에 대한 인식을 언급한 부분이 나온다. “이미 그러한 자취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그 소이연(所以然: 까닭)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미 그러한 것을 고(故)라고 하며, 소이연도 고(故)라고 말한다. 그 뜻이 서로 통할 수 있다.”(<이루 하> 26)라고 말한 것은 자연에 대한 경험론적 인식의 원리에 대한 설명이다.
정약용의 특기할 만한 주석은 이 밖에도 매우 많다. 여러 곳에서 고주와 신주의 잘못을 비판하고 자신의 독창적인 관점을 밝혔다. 선과 도덕의 원리를 내재적인 이법이라고 주장하는 주자학(朱子學)의 존재론과 심성론(心性論)과 실천론을 비판하였다. 창조와 안양, 그리고 감시의 능력을 가진 초월적ㆍ절대적 상제가 부여한 영명지체를 바탕으로 실천적 기초를 강화하고 현실에서 구체적 실천을 할 것을 강조하였다.

정약용은 그의 실천적 관점에서 궁극적 실재로서의 태극(太極)을 부정하고 상제를 강조하였고, 성기호설을 통해 인간 본성을 실체로 보는 주자학적 형이상학과 심성론을 비판하였다. 또한 도심의 강조를 통하여 성리학의 미발함양(未發涵養) 공부를 비판하였다. 이로부터 보건데 정약용은 자신의 실천ㆍ실용 학문의 강력한 기초를 ≪맹자요의≫를 통하여 구축했다고 볼 수 있다. 맹자는 왕도(王道)의 실현을 통해 정치적 이상을 강조하기도 했지만 심(心)의 강조를 통한 내적 수양 역시 강조하였다. 맹자는 내면적 수양의 높은 경지를 드러내는 대장부(大丈夫), 대인(大人), 성인(聖人) 등을 강조했다. 하지만 정약용은 ≪맹자요의≫에서 이들 개념에 대해 소략한 언급만을 하거나 생략하였다. ≪맹자요의≫에서 정약용이 제외된 107장의 내용에 대한 고찰과 그에 기초하여 맹자와 정약용의 시대인식의 차이점 역시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이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