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사전 周易四箋

정약용의 역학 관련 중심 저술로서, ≪주역(周易)≫을 ➊ 추이(推移), ➋ 물상(物象), ➌ 호체(互體), ➍ 효변(爻變)이라는 네 가지 해석 방법(= 역리사법)을 통해 주석한 책.

≪주역사전(周易四箋)≫은 정약용이 1808년(순조 8)에 완성한 책이다. ‘사전(四箋: 네 가지 주석)’이란 정약용이 ≪주역≫ 해석을 위해 적용한 ① 추이, ② 물상, ③ 호체, ④ 효변의 네 가지 해석 방법(= 역리사법(易理四法))을 가리킨다. 역학의 계보는 해석방법론에 따라 상수학파(象數學派)와 의리학파(義理學派)로 나누어지는데, 위의 네 가지 해석 기술은 모두 상수학파의 해석 방법론에 속한다. 상수학파에서는 상(象)과 수(數)에 의거하여 괘사(卦辭)와 효사(爻辭)를 해석할 것을 주장한 반면, 의리학파에서는 상수적 해석 방법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괘효사의 의미가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약용은 상(象)과 수(數) 중에서도 특히 상(象)을 중요시하였으며, 수(數)에 대해서는 그다지 비중을 두지 않았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정약용을 상수학파로 분류할 수 없다는 견해도 있으나, 정약용의 해석체계 가운데 수(數)에 의한 해석이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을 뿐이지, 수(數)를 완전히 무시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약용을 상수학자로 보는 견해는 여전히 유효하다. 위의 네 가지 중에서 물상은 주역의 괘사를 <설괘전(說卦傳)>에서 지정한 괘상의 의미에 의거해서 해석해야 한다는 것으로서 상수학의 기본원칙에 해당된다. 그리고 나머지 셋은 상수학의 세부적 해석 기술에 해당된다. 정약용은 위의 네 방법을 위주로 해석하면서도 그 이외에도 ‘교역(交易)’, ‘번역(反易)’, ‘변역(變易)’이라는 방법을 보조적으로 사용하였는데, 이를 ‘삼역(三易)’이라고 부른다.
한편 역학의 계보를 시대적으로 분류하여, 크게 한대역학(漢代易學)과 송대역학(宋代易學)으로 나누기도 한다. 그런데 정약용은 ≪주역사전≫의 제무진본(題戊辰本)에서 그의 네 가지 방법론이 모두 “주자가 올바르게 여긴 것이다.[朱子之義也.]”라고 말하여, 그의 해석 방법이 전적으로 주희(朱熹, 1130~1200, 호:晦庵)에 의존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그러나 정약용의 이 발언은 다분히 의도적인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정약용의 역학과 주희의 역학 사이의 간격은 상당히 크며, 양자 사이의 일치점은 오직 부분적이다. 정약용은 추이설에서 소과(小過)와 중부(中孚)를 벽괘(辟卦)에 편입함으로써 14벽괘설이라는 독특한 형태의 괘변설을 전개하였는데, 이는 주희의 괘변설에는 없는 요소이다. 주희는 호체설을 인정하기는 하였지만, 실제로는 거의 호체를 취하지 않았다. 효변설에서도 주희는 점법으로는 효변을 취하였으나, 괘효사의 해석에서는 거의 취하지 않았다. 이처럼 양자 사이의 현저한 불일치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약용이 주희와의 공통점을 의도적으로 부각시킨 이유는 확실치 않다. 다만 주희의 학설을 신봉하는 학자들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을까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정약용의 학설은 송(宋) 대의 역학보다는 오히려 한(漢) 대의 상수역학에 더 가깝다. 정약용의 상수학적 방법론은 대부분 한 대의 상수역학에서 비롯되었으며, 그의 벽괘설(辟卦說)은 경방(京房, 기원전 77 ~ 기원전 33, 자:君明)의 괘기설(卦氣說)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 추이(推移)만 보더라도 정약용은 주희의 괘변설보다는 오히려 우번(虞翻, 164~233, 자:仲翔)의 체계를 추종하였다.
전체적으로 본다면, 정약용은 한대역학과 송대역학의 전통을 절충하고 있지만, 어느 한 쪽에 일방적으로 의존하기 보다는 자신의 독창적인 학설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정약용의 학설 중 가장 독창적인 요소는 효변설로서, 그는 ≪춘추좌씨전≫의 서법(筮法)에 착안하여 역해석의 새로운 돌파구를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정약용은 효변설을 추이설과 효과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정합적이고 설득력 있는 해석체계를 구축하는 데 성공하였다.

≪주역사전≫의 ‘사전(四箋)’이란 글자 그대로는 ‘네 가지 주석’이라는 뜻이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약용이 ≪주역≫ 해석에 적용한 ➊ 추이(推移), ➋ 효변(爻變), ➌ 호체(互體), ➍ 물상(物象)의 네 가지 방법에 입각한 주석을 가리킨다. 먼저 ‘추이(推移)’란 전통적인 역학방법론인 괘변설(卦變說)을 가리키고, ‘호체(互體)’란 상괘(上卦)와 하괘(下卦) 외에 중간에서 괘를 취하는 것을 가리키며, ‘물상(物象)’이란 괘사(卦辭)를 해석할 때, 철저하게 <설괘전>에 설명된 괘의 상징에 의해 해석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 중에서 ‘효변(爻變)’을 제외한 나머지 세 방법론은 역학사를 통해 전승되어 내려온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것이 아닌 것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상당히 다른 부분도 있다. 다산역학의 가장 독창적인 요소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단연코 효변(爻變)의 방법론이다. 정약용은 이 효변법(爻變法)을 개발함으로써 첩첩산중 가로막고 있던 난제를 단숨에 해결하는데 성공하였다. 효(爻)란 획(畫)과 구분되는 개념으로서, 획이 그어진 선(線)을 가리키는 정태적 개념인데 반해서, 효는 음(陰)에서 양(陽으)로 혹은 양(陽)에서 음(陰)으로의 변화를 가리키는 동태적 개념이다. 효변설을 따른다면, 음은 비록 음으로 표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사실은 이미 양으로 변동되고 있는 과정을 가리키며, 양은 비록 양으로 표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사실은 이미 음으로 변동되고 있는 과정을 가리킨다. 따라서 효변설을 취하면 일반적으로 양으로 보고 있는 것을 음으로 보고, 음으로 보고 있는 것을 양으로 보게 되는 것이다. 역학사상(易學史上) 효변을 통해 괘사를 해석한 역학자의 예는 희귀하다. 주희의 경우에도 점법(占法)에서는 효변설을 취하고 있으나, 괘사 해석에서는 효변을 거의 취하지 않았다. 따라서 정약용은 효변설에 관한 한, 거의 대부분의 역학자들의 견해와 맞서고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정약용의 효변설이 역학사상(易學史上) 일대사건(一大事件)이 될 수 있는 것도 바로 이 효변설이 지니는 혁명적인 발상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약용은 어떻게 이 효변설에 착안하게 되었으며, 다른 대부분의 역학자들의 통설에 맞설 수 있는 용기와 확신을 지닐 수 있었을까? 그것은 바로 ≪춘추좌씨전≫에 소개되어 있는 춘추관점(春秋官占)의 점서례(占筮例)를 통해서였다. ≪춘추좌씨전≫에는 건초구(乾初九)를 ‘건지구(乾之姤)’라고 표기하고 있는 등의 예가 자주 등장하고 있는데, 여기서 ‘건지구(乾之姤)’는 ‘건(乾)의 구(姤)’라고 읽으면 안되고, ‘건(乾)이 구(姤)로 간다’, 혹은 ‘건(乾)이 구(姤)로 변화한다’라고 읽어야 한다. 유사한 예는 ≪춘추좌씨전≫에 17개, ≪국어(國語)≫에 3개가 나타난다. 정약용은 ≪춘추좌씨전≫과 ≪국어≫의 점서례(占筮例)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이것이 단지 몇 개의 사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주역≫ 64괘 384효에 전체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방법론임을 확신하게 되었다. 역학의 정통적인 맥이 단절되게 된 이유도 바로 이 효가 변동하는 법이 온전히 전수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효변을 취하지 않게 되면, 물상(物象)이 맞지 않게 되고, 물상이 맞지 않게 되자 <설괘전>을 폐기하게 되니, 이로 말미암아 아예 ≪주역≫을 올바로 해석하게 되는 길이 끊어져 버린 것이다. 그렇지만, 효변설을 취하고 다시 변동된 물상을 <설괘전>에 대조해 본다면, 384개의 효사(爻詞)가 글자마다 부합하고 글귀마다 계합(契合)하여 털끝만큼도 의심스럽거나 통하지 않는 것이 없게 된다. 정약용은 <여윤외심서(與尹畏心書)>에서 효변을 궁전(宮殿)의 천문만호(千門萬戶)를 모두 열 수 있는 열쇠에 비유하였다. 궁전 속에는 종묘의 아름다움과 백관의 풍부함이 모두 그 속에 있으나, 단지 자물쇠가 견고히 채워져 있어서, 그 문앞에 누가 이르더라도 아무도 감히 내부를 엿볼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런데 여기에 하나의 만능열쇠가 있어 그 열쇠만 손에 쥔다면, 궁전의 천문만호(千門萬戶)가 모두 활짝 열려 종묘의 아름다움과 백관의 풍부함을 모두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과도 같다. 요컨대 정약용은 효변을 일종의 마스터키(master key)와 같은 역할을 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였다. 정약용의 외손자인 윤정기(尹廷琦, 1814~1897, 호:舫山)가 ≪역전익(易傳翼)≫에서 이 효변을 ‘금약시(金鑰匙)’, 즉 ‘황금열쇠’라고 불렀던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였다. 정약용은 이 황금열쇠를 손에 넣게 되자 ≪주역≫ 해석의 난제들을 파죽지세로 풀어 나갈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정약용은 효변설을 추이설(推移說) 및 호체 등의 다른 방법론적 수단과 효과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마침내 만족할 만한 ≪주역≫ 해석의 수준에 도달하였다.

≪주역사전≫의 제무진본(題戊辰本)에 따르면, 정약용은 1801년(辛酉年)에 강진(康津)에 유배된 이후 1803년(癸亥年) 동지(冬至) 무렵부터 ≪주역사전≫의 저술에 착수하여, 그 이듬해인 1804년(甲子年)에 갑자본(甲子本) 총 8권을 처음으로 세상에 내어놓게 되었다. 이 시절에는 “눈으로 보는 것, 손으로 잡는 것, 입으로 읊조리는 것,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 붓으로 기록하는 것으로부터 밥을 먹고 변소에 가며, 손가락 놀리고 배 문지르는 것에 이르기까지 어느 것 하나도 ≪주역≫ 아닌 것이라고는 없었다.”(≪여유당전서≫ 제1집, 시문집 제19권, <여윤외심(與尹畏心)>) 이처럼 자나 깨나 오로지≪주역≫에만 잠심(潛心)한 결과 나온 것이 바로 갑자본(8권)이었다. 정약용은 이후 연속해서 을축본(乙丑本, 총 8권, 1805), 병인본(丙寅本, 총 8권, 1806), 정묘본(丁卯本, 총 24권, 1807)을 거쳐 1808년(순조 8)에 무진본(戊辰本, 총 24권, 1808)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주역사전≫의 명칭과 관련하여서도 고찰이 필요하다. 버클리대 도서관 아사미문고 소장본 및 단국대 도서관 연민문고 소장본의 겉표지에서는 ‘역사전(易四箋)’이라고 쓰여 있다. 그러나 겉표지와는 달리, 속에서는 권수(卷數)와 함께 서명(書名)이 ≪주역사전≫이라고 명기되어 있다. 또 정약용의 둘째 형인 정약전(丁若銓, 1758~1816, 호:巽菴)은 ≪주역사전≫을 가리켜 ‘주역사해(周易四解)’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 경우 ‘주역사해’가 서명(書名)으로 사용된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한편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에서는 ≪주역사전≫을 ‘주역심전(周易心箋)’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주역심전’은 아마도 ≪주역사전≫에 대한 별칭(別稱)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심전(心箋)’이라는 명칭이 <자찬묘지명>을 제외하고는 나타나지 않고, 또 심학적(心學的)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오해될 소지도 있기 때문에, 혹자는 ‘심(心)’字가 ‘사(四)’字의 오기(誤記)가 아닌가하고 의심하기도 한다. 만일 ‘심전(心箋)’이라는 명칭이 정약용이 실제로 사용한 명칭이라면, 그것은 각고의 노력 끝에 심득(心得)한 결과라는 뜻으로 사용된 것이라고 하겠다.

서지사항

≪주역사전≫은 1937년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간행한 ≪여유당전서≫ 제2집, 경집 제37권~제44권에 수록되어 있으며, 다산학술문화재단(茶山學術文化財團)에서 2012년 간행한 ≪정본(定本) 여유당전서≫에는 제15권~제16권에 수록되어있다. ≪여유당집(與猶堂集)≫의 체계와 비교해 본다면, ≪주역사전≫ 무진본 24권은 ≪여유당집≫ 118권~141권(총24권)에 상응한다. 필사본으로는 ①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 ≪주역사전≫(서울대학교 규장각 도서번호 奎4918) ② 버클리대(Berkeley大) 도서관 아사미문고 소장본(이하 ‘버클리대 소장본’) ≪주역사전≫ ③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주역사전≫(도서번호 한貴古朝 03-23) ④ 단국대 도서관 연민문고 소장본(이하 ‘단국대 소장본’) ≪주역사전≫ (단국대 퇴계중앙도서관 연민기념관 도서번호 연민, 고 180.12 정516ㅈ 丑~亥) 등이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과 버클리대 소장본이 동일 계열에 속하며,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과 신조선사(新朝鮮社) ≪여유당전서≫ 수록본이 동일 계열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단국대 소장본은 전자의 계열에서 후자의 계열로 이동하는 과도기적 단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단국대 소장본에는 제1권, 제2권, 제19권, 제20권이 결본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단국대 소장본에는 표제(表題)에 ≪여유당집(與猶堂集)≫의 일련번호가 기록되어 있고, 또 시작 부분에 무진본의 권수(卷數)와 ≪여유당집(與猶堂集)≫의 권수(卷數)를 병기해 놓았기 때문에, 매우 소중한 자료이다. 단국대 소장본에 의거해서 무진본이 ≪여유당집≫의 체제에 어떻게 상응하는지를 밝히면 다음과 같다.
서목
무진

권수
여유당집
경집번호
여유
당집
권수
권두의 시작 무진

권수
여유당집
경집번호
여유
당집
권수
권두의 시작
1 제41집(子) 118 제무진본(題戊辰本) 13 제47집(午) 130 家人卦
2 119 역례비석(易例比釋) 14 131 損卦
3 제42집(丑) 120 乾卦 15 제48집(未) 132 萃卦
4 121 屯卦 16 133 革卦
5 제43집(寅) 122 師卦 17 제49집(申) 134 泰卦
6 123 泰卦 18 135 巽卦
7 제44집(卯) 124 謙卦 19 제50집(酉) 136 中孚
8 125 臨卦 20 137 춘추관점보주(春秋官占補註)
9 제45집(辰) 126 剝卦 21 제51집(戌) 138 대상전(大象傳)
10 127 頤� 22 139 계사전(繫辭傳)
11 제46집(巳) 128 례표하(括例表 下) 23 제52집(亥) 140 시괘전(蓍卦傳)
12 129 遯卦 24 141 설괘전(說卦傳)

의의

≪주역사전≫은 정약용의 저술 중에서도 저자가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고, 그에 대해 자부심을 숨기지 않았던 저술이다. 정약용은 ≪주역사전≫을 하늘의 도움이 없었다면 결코 나올 수 없었던 “하늘이 도와 완성한 문자[天助之文字]”라고 부르고 있다.(<시이자가계(示二子家誡)>) ≪주역사전≫이 지니는 가치를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은 정약용의 둘째 형 정약전이었다. 흑산도(黑山島)에 유배되어 있던 정약전은 정약용의 초고를 읽어본 뒤, “처음에는 놀라고, 중간에는 기뻤고, 나중에는 나도 모르게 무릎이 굽어졌다.”고 고백하였으니, 이는 동생인 정약용에게 보낼 수 있는 최대의 찬사였다. ≪주역사전≫의 새로운 해석 방법에 처음으로 접한 사람들은 일종의 정신적 충격마저 경험하였다. 예컨대, 해남 대둔사의 학승이었던 혜장(惠藏, 1772~1811, 호: 兒庵)은 정약용과의 역학토론 끝에 “산승이 이십년 동안 주역을 배워왔던 것이 모두 다 물거품이었다.[山僧二十年學易皆虛泡.]”고 토로하였다. 다산역학의 독특한 매력은 정약용으로부터 ≪주역사전≫을 접하게 된 주위의 인물들을 매료시킨 듯하다.
≪역학서언(易學緖言)≫의 <다산문답>에는 ≪주역사전≫에 나타난 새로운 해석 체계를 둘러싸고 전개된 정약용과 제자들 사이에 활발한 학술토론이 실려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역사전≫에 대한 찬사들이 주로 정약용 주변의 인물들로부터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객관적 평가와 곧바로 연결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산역학의 독창성은 전통적 방식의 역학 해석에 물들어 있는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이질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정약용은 자신의 해석 체계와 상이한 주장을 펼치는 역학가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비판하였다. 우선 상수(象數)를 제거한 왕필(王弼, 226~249, 자:輔嗣)에 대해서 정약용은 비난을 넘어서 혐오감마저 드러내었다. 그리고 정약용은 송대역학의 또 다른 중심축인 소옹(邵雍, 1011~1077, 호:安樂)의 선천역학에 대해서도 근본적으로 반대하였다. 소옹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를 중시하였지만 정약용은 그것이 경전에 아무런 근거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이유에서 인정하지 않았다. 정약용의 학설은 명말청초의 고증학적 성과를 수용한 바탕 위에서 성립된 것이었다. 특히 정약용의 모기령(毛奇齡, 1623~1716, 호:西河)에 대한 신랄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그가 다산역학의 기초를 형성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 데에는 몇 가지 근거가 있다. 추이설, 한역(漢易)에 대한 존중, <하도>와 <낙서>의 허위성에 대한 비판 등에 있어 정약용의 관점은 모기령과 기본적으로 일치하였다. 정약용은 자신에 대한 주희의 영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모기령에 대해서는 반대로 그것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역학사는 ≪주역≫ 주석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주역≫ 해석의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정약용의 역학은 역학사에서 의미있는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약용은 공허한 이론을 배격하고, 실증적 증거를 중시하는 시대정신을 읽어 내었고, 이를 역학해석에서도 실천에 옮겼다. 그 시대정신의 선구자는 모기령이었으나, 정약용은 모기령이 자신에게 미친 영향을 애써 부정하려고 힘썼다. 오늘날 정약용의 역학이론을 평가할 때, 다산역학의 공로를 인정할 뿐 아니라 그 한계를 인식하는 비판적 태도가 절실히 요구된다. 정약용이 ≪주역사전≫에서 효변과 추이를 결합하여 괘사를 해석해내는 방식은 상당히 성공적이었다. ≪주역사전≫의 해석 체계가 대단히 정합적일 뿐 아니라 <설괘전>에 입각하여 실증적인 해석을 하고 있는 점은 설득력을 갖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수학적 해석들이 그렇듯이 어떤 경우에는 견강부회적 해석으로 여겨지는 경우들도 상당수 있다. 그리고 정약용은 십익(十翼)의 공자저작설(孔子著作說)을 추호도 의심하지 않았지만, 오늘날 이러한 견해는 더 이상 인정받고 있지 않다. 특히 현대에 이르러 갑골문 혹은 마왕퇴(馬王堆) 백서, 상해박물관전국초죽서(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 등의 출토자료가 새롭게 발견됨에 따라서 종전에 유효했던 관점들에 대해서 수정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면, 마왕퇴 ≪주역≫의 괘서(卦序)는 소옹의 선천역학의 괘서와 상당히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선천역학에 대해 지녔던 비판적 시각을 거두어 들여야 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다산역학에 대한 정당한 평가는 오늘날의 시각에서 그 공과(功過)에 대한 인식이 함께 이루어진 뒤라야 가능할 것이다.

(방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