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씨서평 梅氏書平
현존하는 ≪상서(尙書)≫ 중에서 고문(古文) 25편은 매색(梅賾 = 梅頤, 枚賾, ?~?, 동진 시기 활동)이 작성한 위서(僞書)임을 논증한 책.

정약용은 1810년 봄에 다산(茶山)에서 이 책의 초고 9권을 완성했고, 1811년 초가을에 흑산도에서 둘째 형 정약전(丁若銓, 1758~1816, 호:巽菴)이 서문을 작성했다. 정약용은 1822년 무렵에 이 책의 수정에 들어가 제1권부터 4권까지 마무리했고, 1834년 8월에 나머지 5권의 수정을 마쳤다. ≪매씨서평≫ 제10권 부분은 그 이후에 추가되었다. <염씨고문소증초(閻氏古文疏證鈔)>가 ≪매씨서평≫에 첨가되어 있는데, 이는 연관된 저술이기 때문이다.

≪매씨서평≫은 현재 2종의 필사본과 1종의 활자본이 전해지는데, 2종의 필사본은 버클리대 도서관 아사미문고에 소장된 ≪사암경집(俟菴經集)≫과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된 ≪여유당집(與猶堂集)≫에 포함되어 있고, 1종의 활자본은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간행한 ≪여유당전서≫에 포함되어 있다.

≪매씨서평≫의 본문은 세 부분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권1~권4로 ≪상서≫ 고문 25편이 위서임을 논증한 부분인데, 여기에서는 복생(伏生, ?~?, 前漢 시기), 공안국(孔安國, 기원전 156 ~ 기원전 74 사이 추정), 매색(梅賾) 본으로 이뤄지는 ≪상서≫의 세 가지 전본(傳本)의 출처와 내력을 설명하고, 고문을 위서(僞書)가 아닌 것으로 파악했던 공영달(孔穎達, 574~648)의 ≪상서정의(尙書正義)≫, 채침(蔡沈, 1167~1230)의 ≪서집전(書集傳)≫, 고문을 적극적으로 옹호했던 모기령(毛奇齡, 1623~1716, 호:西河)의 ≪고문상서원사(古文尙書寃詞)≫를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또한 고문을 의심한 주희(朱喜, 1130~1200, 호:晦庵), 오징(吳澄, 1249~1333, 호:草廬), 임지기(林之奇, 1112~1176)의 언급을 중시했으며, 고문의 진위를 묻는 정조(正祖, 재위 1776.3~1800.6)의 질문에 답변하였다. 구체적인 목차는 권1에 <서(序)>, <총서(總序)>, <복생소전금문상서(伏生所傳今文尙書)>, <공안국소장고문상서(孔安國所藏古文尙書)>, <별서두림전고문상서사(別書杜林傳古文尙書事)>, <매색소주공전상서(梅賾所奏孔傳尙書)>, <건무순전고(建武舜典考)>, <하내태서고(河內泰誓考)>, <장패위서고(張覇僞書考)>, <복생금문상서편목(伏生今文尙書篇目)>, <사기소재상서편목(史記所載尙書篇目)>, <정현소주고문상서편목(鄭玄所註古文尙書篇目)>이 있다. 권2에 <대서(大序)> 1~4, <정의(正義)> 1~10, <집전(集傳)> 1~10, 권3~권4에는 <원사(寃詞)> 1~40이 있고, 권4에 <유의(遺議)> 1~8, <강의(講義)> 1~4가 있다.
두 번째는 권5~권9로, 고문 25편의 원문이 어떤 방식으로 작성되었는지를 분석한 부분이다. 정약용은 25편의 원문이 작성된 방식을 의거(依據), 표절(剽竊), 표취(剽取), 표습(剽襲), 표개(剽改), 방표(旁剽), 방수(旁蒐), 수집(蒐輯), 수취(蒐取), 수방(蒐旁), 수연(蒐衍), 수개(蒐改), 수환(蒐換), 수증(蒐增), 수할(蒐割), 수산(蒐刪), 찬개(竄改), 수식(修飾), 도습(蹈襲), 개환(改換), 할렬(割裂), 변란(變亂), 의거(依據), 오루(誤漏), 오용(誤用), 증오(證誤), 유루(遺漏), 유의(謬義), 원안(寃案)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했고, 자신의 견해를 밝힐 때에도 고핵(考覈), 평왈(平曰), 용안(鏞案), 안(案), 우안(又按) 등으로 구분했다. 원문의 작성 방식을 이렇게 구분한 것은 1810년에 작성한 초고본에는 없었는데, 1834년 수정할 때 추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인 목차는 권5에 <대우모(大禹謨)>, <오자지가(五子之歌)>, <윤정(胤征)>, 권6에 <중훼지고(仲虺之誥)>, <탕고(湯誥)>, <이훈(伊訓)>, <태갑(太甲)>, 권7에 <함유일덕(咸有一德)>, <열명(說命)>, <태서(泰誓)>, 권8에 <무성(武成)>, <여오(旅獒)>, <미자지명(微子之命)>, <채중지명(蔡仲之命)>, 권9에 <주관(周官)>, <군진(君陳)>, <필명(畢命)>, <군아(君牙)>, <경명(冏命)>이 있고, 권말(卷末)에 <발(跋)>이 있다.
뒤에 추가된 권10에는 <하내태서(河內泰誓)>, <일주서극은편변(逸周書克殷篇辨)>, <서대전약론(書大傳略論)>이 있다. <하내태서>는 한 무제(漢武帝, 世宗, 재위 기원전 141 ~ 기원전 87, 이름:劉徹) 때에 나타난 ≪태서(泰誓)≫가 위서임을 논증한 것이고, <일주서극은편변>은 주 무왕(周武王)의 방벌(放伐)이 정당했음을 주장한 것인데 그 논거로 제명(帝命)과 후대(侯戴)라는 측면을 거론했다. <서대전약론>은 ≪상서대전≫이 복생이 지은 것이 아니라 장생(張生, ?~?, 前漢 시기)과 구양생(歐陽生, ?~?, 前漢 시기)의 무리들이 위작한 다음 복생에게 가탁한 것임을 밝힌 글이다.
≪여유당전서≫에 수록된 ≪매씨서평≫의 끝에는 <염씨고문소증초> 4권이 첨부되어 있는데, 이는 염약거(閻若璩, 1636~1704)의 ≪고문상서소증≫을 비판한 책으로 ≪매씨서평≫과는 별개의 저작이다. 정약용이 최후에 수정(手定)한 것으로 알려진 ≪열수전서(冽水全書)≫의 목록을 보면 ‘≪매씨서평속(梅氏書平續)≫ 5권 2책이 있고, 제1책(권1~권2)은 ≪염씨고문상서초(閻氏古文尙書鈔)≫’라 하였는데, 이는 ≪매씨서평≫ (전10권)과 <염씨고문소증초>(전4권)를 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약용은 1827년에 홍현주(洪顯周, 1793~1865)를 통해 홍석주(洪奭周, 1774~1842)가 소장한 염약거의 ≪고문상서소증≫을 빌려 보았고, 이 책의 중요 부분을 초록하여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염씨고문소증초>를 작성했다. <염씨고문소증초> 권1의 <남뢰황종희서(南雷黃宗羲序)>는 황종희(黃宗羲, 1610~1695)가 작성한 ≪고문상서소증≫의 서문을 비평한 것인데, 1827년 연말에 작성되었다. 권2~권4는 ≪고문상서소증≫의 내용을 조목별로 비판한 것인데, 정약용이 직접 거론한 조목은 갑(甲) 1~10, 을(乙) 1~10, 병(丙) 1~5, 7, 정(丁) 1~2, 무(戊) 10, 기(己) 1~2, 4, 6, 8, 10, 경(庚) 1~3, 5~6, 9, 신(辛) 1~6, 8, 10, 임(壬) 1~2, 5~6, 9, 계(癸) 2, 7, 9~10, 자(子) 1, 3~6, 7, 축(丑) 2~3, 인(寅) 1, 8이다. 이 중에서 계(癸) 2는 규장각 소장 필사본에는 수록되어 있지만 신조선사(新朝鮮社) 간행 ≪여유당전서≫ 수록본에서는 누락되었다.

정약용은 1834년 봄에 ≪상서지원록≫과 ≪고훈수략≫을 합하여 ≪상서고훈≫으로 정리한 다음 ≪매씨서평≫의 수정에 착수하여 이를 완료하였다. 따라서 ≪매씨서평≫은 정약용이 작성한 최후의 저작에 해당하며, 절정에 이른 그의 경학 연구 방법이 잘 나타나 있다. 정약용은 ≪매씨서평≫에서 ≪상서≫ 고문 25편의 원문이 어디서 유래했는지를 분석했는데, 한(漢) 대에서 청(淸) 대에 이르는 역대 학자들의 주석을 두루 검토하는 가운데 특히 청 대에 작성된 염약거와 모기령의 주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자신의 독특한 경학관을 정립해 나간 것으로 보인다.

(김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