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유당전서보유 與猶堂全書補遺
신조선사(新朝鮮社)의 ≪여유당전서≫(1934~1938)가 간행된 이후 다산학회(茶山學會, 회장 박종홍(朴鍾鴻, 1903~1976))는 정약용의 저작으로 판단되거나 추정되는 글을 수집ㆍ정리하여 ≪여유당전서보유≫ 5책을 간행하였다. 이 책의 간행은 1973년에서 1975년까지 3년 동안 이루어졌으며, 경인문화사에서 출판하였다. 김영호 교수가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또한 다산학술문화재단에서는 기존의 ≪여유당전서보유≫ 내용 중에서 정약용의 저술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제거하고 교감과 표점을 진행하여, 2012년에 ≪여유당전서보유≫를 ≪정본 여유당전서≫(전37책)에 포함시켜 간행하였다. ≪정본 여유당전서≫ 가운데 제35책, 제36, 제37책이 ≪여유당전서보유≫에 해당한다.

경인문화사 본 ≪여유당전서보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책

○ ≪다암시첩(茶盦詩帖)≫, ≪죽란유태집(竹欄遺蛻集)≫, ≪진주선(眞珠船)≫, ≪동원수초(桐園手鈔)≫, ≪열수문황(洌水文簧)≫

제2책 잡찬편(雜纂編)

○ 일기(日記): ≪금정일록(金井日錄)≫, ≪죽란일기(竹欄日記)≫, ≪규영일기(奎瀛日記)≫, ≪함주일록(含珠日錄)≫
○ 잡저(雜著): ≪다산만필(茶山漫筆)≫, ≪아언지하(雅言指瑕)≫, ≪혼돈록(餛飩錄)≫, ≪아언각비보유(雅言覺非補遺)≫, ≪여유당잡고(與猶堂雜考)≫, ≪청관물명고(靑館物名考)≫
○ 교육(敎育): <교치설(敎穉說)>, <불가독설(不可讀說)>, ≪아학편(兒學編)≫, ≪제경(弟經)≫
○ 불교(佛敎): ≪대동선교고(大東禪敎考)≫, ≪만일암지(挽日庵志)≫
○ 역사(歷史): ≪동언잡지(東言雜識)≫, ≪압해정씨가승(押海丁氏家乘) ⅠㆍⅡㆍⅢ≫, ≪동남소사(東南小史)≫

제3책 정법편/국방편(政法編/國防編)

○ 정법편(政法編): ≪명청록(明淸錄)≫, ≪흠전(欽典)≫, ≪산재냉화(山齋冷話)≫
○ 국방편(國防編): ≪민보의(民堡議)≫, ≪상두지(桑土誌)≫, <군제고(軍制考) [가제(假題)]>, ≪비어촬요(備禦撮要)≫, <일본고(日本考) ⅠㆍⅡ>, <한병외이토적고(漢兵ㆍ外夷ㆍ土賊考) [가제(假題)]ⅠㆍⅡㆍⅢ>

제4책 수학편/잡찬편(數學編/ 雜纂編)

○ 수학편(數學編): ≪구고원류(勾股源流)≫
○ 잡찬편(雜纂編): ≪여범지남(儷範指南)≫, ≪서의(書義)≫, ≪역의(易義)≫, ≪임자세제도태양출입주야시각(壬子歲諸道太陽出入晝夜時刻)≫

제5책 경학편(經學編)

○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 ≪광효론(廣孝論)≫, ≪독례통고전주(讀禮通考箋註)≫, ≪주역잉언(周易賸言)≫, ≪시경강의속집(詩經講義續集)≫

다산학술문화재단 본 ≪여유당전서보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35책

≪다암시첩≫, ≪죽란유태집(竹欄遺蛻集)≫, ≪진주선(眞珠船)≫, ≪동원수초(桐園手鈔)≫, ≪열수문황(洌水文簧) Ⅰ≫

제36책

≪열수문황 Ⅱ≫

제37책

≪금정일록≫, ≪죽란일기≫, ≪규영일기≫, ≪함주일록(含珠日錄) 권지일(卷之一)≫, ≪다산만필≫, ≪아언지하≫, ≪혼돈록≫, <제아언각비후>, <연천첨시(淵泉籤示)>, ≪여유당잡고≫, ≪독상서보전(讀尙書補傳)≫, <방교기문(方橋記聞) 권지일(卷之一)>, <영우록(永祐錄) 권지일(卷之一)>, ≪사고역의(四庫易議)≫, <교치설(敎穉說)>, ≪아학편 상(上)≫, ≪아학편 하(下)≫, ≪대동선고교≫, ≪제만일암지(題挽日庵志)≫, ≪가승외편(家乘外編)≫, ≪산재냉화≫, ≪민보의≫, ≪비어촬요≫, <일본고>,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 ≪독례통고전주≫ 김언종(2006~2007)은 세 편의 논문을 통해, ≪여유당전서보유≫에 수록된 저작 가운데에 정약용 자신이 지은 것으로 보기 어려운 것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고 하였다. 그것은 총 17편이며, 그 서목(書目)은 다음과 같다.

서목
순번 작품명 편/저자
1 청관물명고 아들 정학연(丁學淵, 1783~1859)의 저술
2 제경 아들 정학연ㆍ정학유(丁學游, 1786~1855) 편
3 만일암제명(挽日庵題名) 승려 두운(斗云ㆍ斗芸, ?~?, 호:隱峯)의 글
4 만일암실적(挽日庵實蹟) 승려 두운의 글
5 압해정씨가승 아버지 정재원(丁載遠, 1730~1792)의 저술
6 동원기문(東園記聞) 7대조 정호선(丁好善, 1571~1633, 호:東園)의 글
7 동남소사 이두망(李斗望, ?~?) 등 편
8 상두지 이덕리(李德履, 1728~?)의 저술
9 비어고(備禦考) 황주응(黃周應, ?~?)의 편저
10 한병외이토적고 미상
11 구고원류 미상
12 여범지남 미상
13 서의 미상
14 역의 미상
15 임자세제도태양출입주야시각 미상
16 편주광효론(編註廣孝論) 관찬서
17 시경강의속집 외손자 윤정기(尹廷琦, 1814~1879)의 저술
한편 황병기(2008)는 ≪제경≫을 정약용의 저작이 아니라는 기존의 견해에 대해 이견을 제시하였다. 그는 “윤동옥 소장본이 새롭게 발굴되면서 이청(李𤲟 = 李鶴來, 1792~1861, 호:靑田)의 발문과 윤시유(尹詩有, 1780~1833)의 필사기가 알려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정약용을 ≪제경≫의 편자로 인정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하였다. 또한 ≪압해정씨가승≫의 경우도 저자 문제에 대한 이견이 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정약용의 부친 정재원의 저술이지만, 정재원의 행적을 정약용이 보충해 넣는 등 정약용의 수정과 가필이 가해졌으므로 이것을 정재원만의 저작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는 주장이다.

≪여유당전서보유≫에는 신조선사(新朝鮮社)본 ≪여유당전서≫에 수록되지 않은 정약용의 저술이 상당 수 포함되어 있어, 다산학(茶山學) 연구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자료이다. 하지만 그간의 다산학 연구는 신조선사(新朝鮮社)본 ≪여유당전서≫의 자료에 치중한 편이었다. 이는 ≪여유당전서보유≫에 수록된 내용은 정약용이 자편고를 편찬하면서 버린 것일 수 있다는 점, 정약용의 저작이 아닌 것으로 보이는 일부 저술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신뢰할 만한 것이 아닐 수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보인다. 그러나 ≪여유당전서보유≫에는 ≪여유당전서≫에서 찾을 수 없는 정약용의 중요한 저술이 수록되어 있으므로 다산학의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 ≪여유당전서보유≫의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유당전서보유≫ 내의 정약용 저작이 아닌 글을 ≪정본 여유당전서≫에 포함시키지 않은 것은 당연한 조치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저자 미상으로 추정되는 글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정밀한 고증을 통해 정약용 저작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김언종ㆍ양원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