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배 이후(1818~1836)의 다산 - 활동과 저작조성을 ( Cho Sung-eul )
2. 「당서괘기론」을 통해서 본 해배기의 다산역학방인 ( Bang In )
3. 『주례周禮』 `육향제六鄕制` 해석을 통해 본 다산의 경세 구상 ─ `향삼물鄕三物`과 `향팔형鄕八刑` 논의를 중심으로백민정 ( Baek Min-jeong )
4. 정약용의 해배 이후 학문과 춘천 여행심경호 ( Sim Kyung-ho )
5. 다산 정약용의 권형론權衡論 재해석 ─ 선진 문헌에 대한 고증을 바탕으로고승환 ( Ko Seung-hwan )